Skip to content

LEE-HYUNGJUN/SPOT_27th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History

48 Commits
 
 
 
 
 
 
 
 
 
 
 
 
 
 

Repository files navigation

안드로이드 세미나 1주차 과제

1.MainActivity

2.SignUpActivity

3.activity_sign_up.xml

1. MainActivity

  • 회원가입 버튼 클릭

signup_btn.setOnClickListener {
            val intent = Intent(this,SignUpActivity::class.java)
            startActivityForResult(intent,0)
     }

인텐트 객체를 생성해서 SignUpActivity로 보낸다.

startActivityForResult를 이용해 Intent를 requestCode = 0 과 함께 보낸다.

회원가입버튼을 클릭하면 회원가입 화면이 호출된다.

  • onActivityResult 함수

  override fun onActivityResult(requestCode: Int, resultCode: Int, data: Intent?) {
        super.onActivityResult(requestCode, resultCode, data)
      if (requestCode == 0){
       if(resultCode == Activity.RESULT_OK){
           var id : String? = data?.getStringExtra("ID")
           var pw : String? = data?.getStringExtra("PW")
           id_edit.setText(id)
           password_edit.setText(pw)
       }
   }
}

startActivityForResult에 대한 처리 즉, MainActivity에서 startActivityForResult를 통해 SecondActivity에서의 특정 행위에 대한 결과값을 처리하기 위해 onActivityResult오버라이드합니다.

startActivityForResult를 이용해 회원가입창으로 Intent를 보내 SignUpActivtiy에서 다시 MainActivity에 Intent를 받기 위해서는 onActivityResult 함수가 필요하다

MainActivity에서 requestCode = 0으로 보냈고, SignUpActivity에서 Activity.RESULT_OK라는 메시지가 resultCode에 설정돼서 온다면

Main 로그인 화면 창에 회원가입할때 적힌 id와 password를 화면에 띄어준다.

onActivityResult에서 정해준 requestCode와 resultCode를 이용해 각각의 다른 처리를 해주는 분기처리를 할 수 있기에 startActivity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 SharedPreferences 객체 설정

val sharedPref: SharedPreferences = getSharedPreferences("pref", Context.MODE_PRIVATE)
val sharedEdit= sharedPref.edit()

로그인시에 id와 pw를 저장하기 위해 SharedPreferences를 이용한다.

먼저, SharedPreferences 객체를 생성한다. 객체 이름을 "pref"로 설정하고, 뒤에 모드를 정해준다. 대부분 Context.MODE_PRIVATE를 사용한다.

그 다음 Edit 객체를 만들어준다. 정보를 SharedPreferences에 입력하는 것은 모두 Edit으로 진행된다.

  • SharedPreferences에 값 넣어주기

 sharedEdit.putString("id",id_edit.text.toString())
 sharedEdit.putString("pw",password_edit.text.toString())
 sharedEdit.apply()

putString을 이용해 정보를 넣어준다. 넣어주는 값의 이름을 "id" 또는 "pw"로 설정하고, id_edit.text.toString()을 SharedPreferences 에 넣어준다.

id_edit.text.toString() 는 id_edit라는 이름을 가진 EditText에서 값을 가져오는 것이다.

putString을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sharedEdit.apply()를 실행해야 모든 값이 넣어진다.

  • SharedPreferences에서 값 가져오기

if(sharedPref.getString("id","") != "" && sharedPref.getString("pw","") != ""){
            val intent = Intent(this,HomeActivity::class.java)
            startActivity(intent)
        }
</pre>

SharedPreferences에 넣은 값이 문자열이기 때문에 getString을 이용해 값을 가져온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Edit객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다.

값을 넣어주는 것은 Edit을 이용하지만, 값을 가져올때는 SharePreferences 객체를 이용한다.

위의 코드는 등록한 ID와 Password값이 존재하다면 HomeActivity로 보내는 작업을 한다.


2. SignUpActivity

  • 로그인 버튼 클릭

    • EditText에 빈칸이 존재할경우 
      
      ok_btn.setOnClickListener {
                  if(edit_name.text.toString() == "" || edit_id.text.toString() == "" || edit_password.text.toString() == ""){
                      Toast.makeText(this, "빈칸이 존재합니다! 전부 입력해주세요!", Toast.LENGTH_SHORT).show()
                  }

      빈칸이 존재한다는 토스트 메시지를 띄운다

    • EditText에 빈칸이 없는 경우 
      
 Toast.makeText(this, "회원가입완료!", Toast.LENGTH_LONG).show()
                var intent = Intent(this,MainActivity::class.java)
                intent.putExtra("ID", edit_id.text.toString())
                intent.putExtra("PW", edit_password.text.toString())
                setResult(Activity.RESULT_OK,intent)
                finish()

인텐트 객체를 생성한다. 생성된 Intent에 ID값과 Password값을 넣어준다.

MainActivity에서 startActivityForResult() 로 전송되었기에 setResult(Activity.RESULT_OK,intent) 를 해준다.


3. activity_sign_up.xml

    android:hint="비밀번호를 입력하시오"
    android:inputType="numberPassword"

EditText에 hint와 inputType 속성을 넣어준다.


Seminar 02. RecyclerView

  • ProfileData
    @Parcelize
    data class ProfileData (
        var title : String,
        var subTitle : String,
        var date_title : String,
        var date_subTitle : String,
        var contents : String
    ) : Parcelable

    RecyclerView에서 이용될 Data class를 먼저 생성해준다.

    여기서 @Parcelize를 사용했는데 Parcelize란 A Activity에서 B Activity로 데이터를 한꺼번에 전달하여 받아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Parcelize를 이용하면 intent로 data를 넣고 꺼낼때 하나 하나 입력할 필요가 없다.

  • ViewHolder
    class ProfileViewHolder(itemView : View) : RecyclerView.ViewHolder(itemView){
    
        private  val title : TextView = itemView.findViewById(R.id.title_txt)
        private val subtitle : TextView = itemView.findViewById(R.id.subtitle_txt)
    
        fun onBind(data : ProfileData){
            title.text = data.title
            subtitle.text = data.subTitle
        }
    }

    ViewHolderRecyclerView.ViewHolder 를 상속받아 구현하게 되며, ViewHolder를 통해 item을 표시할 View를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재사용 할 수 있게 된다. 대용량의 데이터라도 소수의 View를 이용하여 표현 가능 하다.

    onBind 함수를 이용해서 View에 data를 bind 시킨다.

    RecyclerView 는 화면에 표시되는 개수만큼의 ViewHolder와 여분의 ViewHolder를 기본으로 생성하여 스크롤에 대비한다.

  • Adapter
    class ProfileAdapter (private val context : Context) : RecyclerView.Adapter<ProfileViewHolder>(){
    
        var data = mutableListOf<ProfileData>()
        var layoutitem = R.layout.item_list
    
        override fun onCreateViewHolder(parent: ViewGroup, viewType: Int): ProfileViewHolder {
            val view = LayoutInflater.from(context).inflate(layoutitem,parent,false)
            return ProfileViewHolder(view)
        }
    
        override fun getItemCount(): Int = data.size
    
        override fun onBindViewHolder(holder: ProfileViewHolder, position: Int) {
            holder.onBind(data[position])
    
            holder.itemView.setOnClickListener {
                mitemClickListener.onClick(it,position)
            }
        }

    Adapter는 ViewHolder를 생성하고, data를 ViewHolder에 넣어주는 역할을 한다.

    Adapter는 3가지 함수를 override 해야 한다.

    1. onCreateViewHolder : 앞에서 정의한 뷰 홀더가 새롭게 만들어지는 시점에 호출이 된다.

      그 안에서 각각의 아이템을 위해 정의한 XML 레이아웃을 뷰 객체로 만들어준다.

    2. getItemCount : RecyclerView Adapter 어댑터에서 관리하는 아이템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3. onBindViewHolder : 매서드를 통해 생성한 객체를 재활용하여 내부의 데이터만 바꾸는 형식이다. Adapter는 ViewHolder를 position(위치) 기반으로 할당하고, onBindViewHolder 콜백 호출을 받았을때, 위치(position) 기반의 데이터를 할당된 ViewHolder에 표시할 수 있다.

  • RecyclerViewActivity
    profileAdapter = ProfileAdapter(this)
            //main_rcv.layoutManager = GridLayoutManager(this,columnsCount)
            main_rcv.layoutManager = LinearLayoutManager(this)
            main_rcv.adapter = profileAdapter
    
    
            profileAdapter.data = mutableListOf(ProfileData(
                    "이름", "이형준", "작성날짜", "10월 22일", "안녕하십니까! 저는 YB 이형준입니다!"))
    		profileAdapter.notifyDataSetChanged()

    Activity에서 Adpater 객체를 생성하여, 객체를 이용해 데이터를 넣어준다. 넣은 데이터는 ViewHolder에 뿌려지게 된다.


  • Click 이벤트 처리

    click 이벤트를 Adapter에서 처리 하지 않고, 외부 Activity나 Fragment에서 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 Adapter 내 커스텀 리스너 interface 정의

       interface ItemClickListener{
              fun onClick(view : View, position: Int)
          }
    • 리스너 객체 참조를 저장하는 변수와 Adapter에 전달하는 메서드 생성

      // 리스너 객체 참조를 저장하는 변수
      	private lateinit var mitemClickListener: ItemClickListener
      
          // ItemClickListener 리스너 객체 참조를 어댑터에 전달하는 메서드
          fun setItemClickListener(itemClickListener: ItemClickListener){
              this.mitemClickListener = itemClickListener
          }
    • Adpater내 onBindViewHolder 함수 내 onClickListener 설정

      override fun onBindViewHolder(holder: ProfileViewHolder, position: Int) {
              holder.onBind(data[position])
      
              holder.itemView.setOnClickListener {
                  mitemClickListener.onClick(it,position)
              }
          }
    • Activity에서 사용

       profileAdapter.setItemClickListener(object : ProfileAdapter.ItemClickListener {
                  override fun onClick(view: View, position: Int) {
                   	Log.d("SSS","${position}번 리스트 선택")
                      val intent = Intent(baseContext, ResultActivity::class.java)
                      intent.putExtra("data", profileAdapter.data[position])
                      startActivity(intent)
                  }
      
              })
  • Menu 버튼 생성

    • menu.xml 생성

      <menu xmlns:app="http://schemas.android.com/apk/res-auto"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item android:title="linear" android:id="@+id/linear"/>
          <item android:title="grid" android:id="@+id/grid"/>
      </menu>
    • onCreateOptionsMenu 오버라이드

      override fun onCreateOptionsMenu(menu: Menu?): Boolean {
              val inflater = menuInflater
              inflater.inflate(R.menu.menu,menu)
      
              return super.onCreateOptionsMenu(menu)
          }

      onCreateOptionsMenu는 Activity가 호출될때 호출되는 함수로 생명 주기내에서 단 한 번만 호출된다. 해당 함수에서는 MenuInflater를 통하여 menu xml 파일을 객체로 생성해준다.

    • onOptionsItemSelected 오버라이드

      override fun onOptionsItemSelected(item: MenuItem): Boolean {
              when(item.itemId){
                  R.id.linear ->{
                      main_rcv.layoutManager = LinearLayoutManager(this)
                      profileAdapter.layoutitem = R.layout.item_list
                      main_rcv.adapter = profileAdapter
                      return true
                  }
                  R.id.grid ->{
                      main_rcv.layoutManager = GridLayoutManager(this,2)
                      profileAdapter.layoutitem = R.layout.list_grid
                      main_rcv.adapter = profileAdapter
                      return true
                  }
                  else ->{
                      return super.onOptionsItemSelected(item)
                  }
              }
          }

      onOptionsItemSelected 함수에서는 특정 menu item을 클릭했을 때 호출되는 함수이다. when함수를 통해 item.itemId가 linear,grid 일 때로 나누어 레이아웃이 다르게 선택되도록 구현함.


Seminar 03. Fragment


3주차 과제의 큰 틀은 ViewPager2개, Fragement 5개로 구성된다.
핵심은 ViewPager가 2개이므로 Adapter도 2개를 이용해야 하는 것이다.


1. Fragment

프래그먼트란 하나의 액티비티가 여러 개의 화면을 가지도록 만들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다.

  • 액티비티와 동일하게 레이아웃, 동작 처리, 생명주기를 가지고 있음
  • 재사용성이 뛰어남
  • 액티비티 내에서 실행 중 추가,제거,변경이 가능

중요한 것은 Activity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이 관리하지만, Fragment는 Activity가 관리한다.

supportFragmentManager.beginTransaction().add(R.id.fragment_container,fragment1).commit()

위의 코드에서 볼 수 있듯이 Fragment를 관리하기 위해 FragmentManger를 호출해야한다.

여기서 Fragment Transaction의 역할이 중요하다

-Fragment Transaction 이란?

  1. Fragment Manager의 역할 중 하나

  2. 액티비티에서 프래그먼트를 추가,변경,삭제 작업을 수행

  3. 수행한 트랜잭션의 상태를 백스택에 저장 가능

supportFragmentManager를 이용해 beginTransaction()을 호출하여 추가,제거, 변경등이 가능하다!

  • Fragment 생명주기

    프래그먼트에서는 뷰를 생성하는 시점이 정해져 있어 onCreateView() 에서 생성하고 뷰가 만들어지면 **onViewCreated()**가 콜백됩니다. Fragment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것을 **onViewCreated()**에 적어준다.

2.ViewPager

ViewPager란 하나의 화면 안에서 여러가지 화면을 슬라이드 형식으로 보여줄 때 사용한다.

주로 하단 탭, 상단 탭과 연동하여 사용한다.

먼저, ViewPager에 필요한 Adapter를 작성해야 한다.

  • MainViewPagerAdapter
class MainViewPagerAdapter (fm: FragmentManager)
    : FragmentStatePagerAdapter(fm, BEHAVIOR_RESUME_ONLY_CURRENT_FRAGMENT){

    var fragments = listOf<Fragment>() //fragment를 담은 리스트

    override fun getItem(position: Int): Fragment = when(position) {
        0 -> ProfileFragment()
        1 -> PortFragment()
        2 -> SettingFragment()
        else -> throw IllegalStateException("오류입니다")
    }

    override fun getCount(): Int = fragments.size
}

Adpater는 getItem() ,getCount() 이 두가지를 무조건 override 해주어야 한다.

또한, (fm: FragmentManager)를 보면 알듯이 FragmentManger를 필요로 한다.

FragmentStatePagerAdapter를 adapter가 상속한다. FragmentStatePagerAdapter 란 보여지는 화면 기준 양 옆 프래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를 완전히 파괴하고, 메모리 누수 관리에 효과적이다.

getItem에서 전달 받은 position을 통해 어떤 Fragment를 호출할 것인지를 정해준다.

  • HomeViewPagerAdapter
class HomeViewPagerAdapter (fm: FragmentManager)
    : FragmentStatePagerAdapter(fm, BEHAVIOR_RESUME_ONLY_CURRENT_FRAGMENT){

    var fragments = listOf<Fragment>() //fragment를 담은 리스트

    override fun getItem(position: Int): Fragment = when(position){
        0 -> InfoFragment()
        1 -> OtherFragment()
        else -> throw IllegalStateException("오류입니다")
    }

    override fun getCount(): Int = fragments.size
}

Adapter를 구성했으면 ViewPager에 Adapter를 장착을 해주면 된다.

  • ProfileViewPager
 private lateinit var mvp_Adapter: MainViewPagerAdapter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profile_view_pager)

        mvp_Adapter = MainViewPagerAdapter(supportFragmentManager)
        mvp_Adapter.fragments = listOf(
            ProfileFragment(),
            PortFragment(),
            SettingFragment()
        )
        vp_main.adapter = mvp_Adapter

Adpater에 fragment를 리스트로 넣어준다.

그리고, xml에서 ViewPager인 vp_main을 불러와 adapter를 장착해준다.

3. BottomNavigation

  1. bottom_menu.xml 생성
<menu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item
        android:id="@+id/menu_profile"
        android:icon="@drawable/ic_profile"
        android:title="Profile"/>
    <item
        android:id="@+id/menu_port"
        android:icon="@drawable/ic_port"
        android:title="Port"/>
    <item
        android:id="@+id/menu_setting"
        android:icon="@drawable/ic_setting"
        android:title="Setting"/>
</menu>

먼저 bottom_menu를 생성한다. 어떤 icon과 title을 가지고 있는지를 정해준다.

  1. bottom_navi_color 생성 (selector)
<selector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item android:color="#86C3BA" android:state_checked="true"/>
    <item android:color="#9E9E9E" android:state_checked="false"/>
</selector>

selector를 생성해준다. android:state_checked를 이용해 체크가 될 경우와 안 될 경우의 색을 구분 짓는다.

  1. BottomNavigation 이벤트 처리
bottom_menu.setOnNavigationItemSelectedListener {
            var index by Delegates.notNull<Int>()
            when(it.itemId){
                R.id.menu_profile -> index = 0
                R.id.menu_port -> index = 1
                R.id.menu_setting -> index = 2
            }
            vp_main.currentItem = index
            true
        }

네비게이션을 클릭했을 때 itemId 값을 통해 index 값을 정해준다.

여기서 클릭해서 정해진 index가 FragmentAdapter의 position으로 들어가 각각의 Fragment를 호출한다.

4. TabLayout

TabLayout은 상단 탭을 만들 때 주로 사용된다. BottomNavigation에 비해 위치 이동이 자유롭다.

 tl_profile.setupWithViewPager(vp_profile)
        tl_profile.apply{
            getTabAt(0)?.text = "Info"
            getTabAt(1)?.text = "Other"
        }

xml에서 정해준 tl_profile(=TabLayout)을 가져와 setupWithViewPager를 호출한다.

setupWithViewPager를 이용해 vp_profile(=ViewPager)이라는 TabLayout를 이용하기 위한 ViewPager를 연결한다.

getTabAt(0)?.text = "Info" 를 이용해 각 Tab의 타이틀을 정해준다.


Seminar06. Server

결과화면

1. Retrofit interface 설계, 싱글톤 실제 구현체
interface SignUpService{
    @Headers("Content-Type:application/json")
    @POST("/users/signup")
    fun postSignUp(
        @Body body : RequestSignUpData
    ) : Call<ResponseSignUpData>
}
interface DummyService{
    @Headers("Content-Type:application/json")
    @POST("/api/users")
    fun postDummy(
        @Query("page") page : Int
    ) : Call<ResponseDummyData>
}
interface KakaoService{
<<<<<<< HEAD
    @Headers("Authorization:KakaoAK 310946a77e3b1f2d3f2ad957864a948f")
=======
    @Headers("Authorization:KakaoAK {RSET_API_KEY}")
>>>>>>> main
    @GET("/v2/search/web")
    fun getWebSearch(
        @Query("query") web : String
    ):Call<ResponseKakaoData>
}
  • 식별 URL을 interface로 설계한다. URL에 들어가는 변경가능한 경로라면 @Path , 쿼리 매개변수를 사용할 경우 @Query로 표현한다.
  • @POST 방식 외에도 @GET등이 있다.
  • 요청하는 데이터가 있다면 @Body를 통해 RequestBody를 설정할 수 있다.
object SignUpServiceimpl{
    private const val BASE_URL = "http://15.164.83.210:3000"

    private val retrofit : Retrofit = Retrofit.Builder()
        .baseUrl(BASE_URL)
        .addConverterFactory(GsonConverterFactory.create())
        .build()

    val service : SignUpService = retrofit.create(SignUpService::class.java)
}
object DummyServiceimpl {
    private const val BASE_URL = "http://reqres.in"

    private val retrofit : Retrofit = Retrofit.Builder()
        .baseUrl(BASE_URL)
        .addConverterFactory(GsonConverterFactory.create())
        .build()

    val service : DummyService = retrofit.create(DummyService::class.java)
}
object KakaoServiceimpl {
    private const val BASE_URL = "https://dapi.kakao.com"

    private val retrofit : Retrofit = Retrofit.Builder()
        .baseUrl(BASE_URL)
        .addConverterFactory(GsonConverterFactory.create())
        .build()

    val service : KakaoService = retrofit.create(KakaoService::class.java)
}
  • 싱글톤이란 객체는 하나만 생성하고 프로젝트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 패턴중 하나이다.
  • 싱글톤 객체로 사용하기 위해 object로 선언한다.
  • Retrofit 객체를 생성하여 interface 객체를 넘겨 service라는 실제 구현체를 생성한다.
2. request data , response data 설계
data class RequestSignUpData(
    val email : String,
    val password : String,
    val userName : String
)
  • 요청하는 데이터가 있다면 데이터 Type에 맞게 RequsetData를 생성해준다.
data class ResponseSignUpData(
    val `data`: Data,
    val message: String,
    val status: Int,
    val success: Boolean
) {
    data class Data(
        val email: String,
        val password: String,
        val userName: String
    )
}
  • ResponseData를 생성할 때 Json 객체의 키 값과 타입을 일치 시켜줘야 한다.
3. Call & Callback 등록하여 요청
val call : Call<ResponseKakaoData> = KakaoServiceimpl.service.getWebSearch(et_search.text.toString())
            call.enqueue(object : Callback<ResponseKakaoData>{
                override fun onFailure(call: Call<ResponseKakaoData>, t: Throwable) {
                }

                override fun onResponse(
                    call: Call<ResponseKakaoData>,
                    response: Response<ResponseKakaoData>
                ) {
                    response.takeIf { it.isSuccessful }
                        ?.body()
                        ?.let { // 서버 연결 성공
                            kakaoAdpater.data = mutableListOf( KakaoData(removeHTMLTag(it.documents[0].title),removeHTMLTag(it.documents[0].datetime),removeHTMLTag(it.documents[0].contents))
                            )
                            kakaoAdpater.notifyDataSetChanged()
                        }?:let { // 연결 실패
                        showError(response.errorBody())
                    }
                }
                private fun showError(error: ResponseBody?) {
                    val e = error ?: return
                    val ob = JSONObject(e.string())
                    Toast.makeText(view.context,ob.getString("message"), Toast.LENGTH_SHORT).show()
                }
            })
  • Call 은 비동기적으로 Type을 받아오는 객체이다. Callback은 Type 객체를 받아왔을 때 프로그래머의 행동이다.
  • 먼저 call 객체를 받아온다. 싱글톤에서 만든 service라는 객체를 이용해서 interface에서 정의한 함수를 사용한다. 요청하는 데이터가 있다면 RequestData에 값을 넣어준다.
  • enqueue를 호출하여 실제 서버 통신을 비동기적으로 요청한다. 이 떄, onFailure와 onResponse를 오버라이드 해야한다.
  • 서버에 통신이 된다면 onResponse함수에 들어오게 되고, response.isSuccessful 인 경우는 응답이 성공된 경우 즉, Status Code가 200~300일 경우이다.
  • 응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body()값이 없는 경우, showError()를 실행한다.

About

No description, website, or topics provided.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Languages